제목 |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81” | ||||||||||||||||||||||
---|---|---|---|---|---|---|---|---|---|---|---|---|---|---|---|---|---|---|---|---|---|---|---|
작성자 | 경제조사팀 | 작성일 | 2025.03.25 | ||||||||||||||||||||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81” - 울산지역 기업 경기전망, 2025년 2분기에도 기준치 하회하며 하락세 지속 - - 내수 부진과 트럼프 2기 출범 등으로 조선업 제외 전 업종 부진 -
울산상공회의소(회장 이윤철)가 지역 제조업체 100여곳을 대상으로 2025년도 2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기준치인 100을 하회하는 81로 집계됐다. 직전분기(64)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지역기업들은 내수 경기 침체와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경영 환경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각 부문별 전망치는 매출액(74→92), 영업이익(70→84), 설비투자(85→81), 자금사정(67→72) 등 설비투자를 제외하고는 소폭 개선이 예상되지만, 여전히 지역기업이 체감하는 경영환경은 부정적일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자동차·부품(56→75)과 정유·석유화학(88→55)은 업황 부진을 예상한 반면, 조선·부품(100→111)은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부품(75)은 내수부진과 설 연휴 등으로 영업일수 감소, 주요 시장에서의 수요 둔화 등이 겹치며 생산과 수출이 감소했고, 이로 인한 부정적인 심리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가 4월 2일자로 상호관세 및 자동차 등 부문별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업황 심리가 더욱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부품(111)은 주요 기업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 흐름이 이어지면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조선업 실적 상승 기대감은 여전하지만, 글로벌 발주량 감소, 선가 하락, 중국의 시장 점유율 확대 등 여러 도전에도 직면한 상황이다. 다만, 현재 미국의 중국 조선업 제재 조치가 강화될 경우 국내 조선업은 관세 예외를 넘어 관세 수혜까지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유·석유화학(55)은 국내외 불확실성으로 업황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석유화학은 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고환율로 인한 원재료 가격 상승이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유업계는 국제유가가 하향 안정화 추세에 있어 정제마진 개선이 기대되지만, 수요 회복은 여전히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목표 매출액 대비 올해 매출액 목표를 묻는 질문에는 ‘유지(39.8%)’, ‘하향(33.7%)’, ‘상향(26.5%)’ 순으로 답했으며, 투자계획 목표에 대해서는 ‘유지(53.0%)’, ‘하향(32.5%)’, ‘상향(14.5%)’ 순으로 답하여 대체로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유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조사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사업 실적에 가장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묻는 질문에는 트럼프發 관세정책(56.6%), 원부자재 가격 상승(45.8%), 내수경기 부진(37.3%),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24.1%) 순으로 답변했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가능성과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실적과 투자계획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기업들은 보수적인 경영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는 우리 기업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관세 부과 협상 및 석유화학 업계 구조 조정 지원 등 대내외 위험 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책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며 “울산상공회의소도 기업들이 급변하는 경영 환경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현장 중심의 정책 건의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경기전망지수(BSI)는 100을 기준으로, 100을 초과하면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업체가 많다는 의미고, 100 미만은 그 반대를 나타낸다.
<울산지역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추이>
|
▲ | 울산상의, 신규 글로벌IP스타기업 13개社 선정 |
---|---|
‒ | “2025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81” |
▼ | 209차 울산경제포럼 개최, 양자 컴퓨터, 새로운 산업 창출 유도 |
(우)44689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97 (신정동) 울산상공회의소
대표전화 : Tel.052-228-3000, Fax.052-711-1234 문의 : ulsan@korcham.net
Copyright (c) 2017 ulsancci,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