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2025년 2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
---|---|---|---|---|---|---|---|---|---|---|---|---|---|---|---|---|---|---|---|---|---|---|---|---|---|---|---|---|---|---|---|---|---|---|---|---|---|---|---|---|---|---|---|---|---|---|---|---|---|---|---|---|---|---|---|---|---|---|---|---|---|---|---|---|---|---|---|---|---|---|---|---|---|---|---|---|---|---|---|---|---|
작성자 | 경제조사팀 | 작성일 | 2025.04.09 | ||||||||||||||||||||||||||||||||||||||||||||||||||||||||||||||||||||||||||||||
2025년 2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2분기 체감경기 급냉, 9분기 만에 최저치 기록 -
울산상공회의소(회장 이윤철)가 관내 50개 표본 소매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2/4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조사 결과, 전망치가 48로 집계되며 23년 1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기준치(100)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의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당시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태별로는 백화점(100→50), 대형마트(100→80), 편의점(93→60), 슈퍼마켓(67→44)으로 나타나 당분간 소비심리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적으로는 최근 안정적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에도 불구하고 가공식품 가격 인상 등 체감물가에 대한 부담 지속과 실질소득 감소가 소비 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전체적인 소비 위축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고가 소비가 많은 백화점과 대형마트뿐 아니라, 생필품 중심의 편의점과 슈퍼마켓까지도 경기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 등 비대면 소비 트렌드의 확산도 오프라인 기반의 소매유통업에 지속적인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대형마트는 플랫폼 기반 유통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인해 고객 이탈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대형 유통업체인 홈플러스와 온라인 명품 플랫폼인 발란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은 유통망 안정성에 대한 불안과 소비자 신뢰 하락 등으로 이어져 유통업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자영업 비중이 높은 슈퍼마켓과 편의점은 인건비와 운영비 상승 부담이 겹치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으며, 소비 회복세의 실질적 체감이 부족한 상황에서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역산업 경기 둔화 역시 중요한 요인이다. 트럼프 관세 이슈 및 중국발 공급과잉 등으로 인한 울산 주력산업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지역 내 전반적인 소비심리에도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미국발 수입관세 부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여 소비 시장이 둔화될 지를 묻는 질문에 66.7%가 ‘둔화될 것’(그렇다: 43.6%, 매우 그렇다: 23.1%)이라 응답했으며, ‘보통이다’(25.6%), ‘둔화되지 않을 것’(7.7% / 그렇지 않다: 5.1%, 전혀 그렇지 않다: 2.6%) 순으로 답했다.
또한, 국내 소비시장 회복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2026년 이후’(51.3%), ‘2028년 이후’(20.5%), ‘2025년 하반기’(17.9%) ‘2027년 이후’(7.7%), ‘2025년 상반기’(2.6%) 순으로 응답하며, 소비 회복에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울산상의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대내외 환경과 불확실성 지속으로 기업 경기는 물론 내수까지 얼어붙고 있는 상황”이라며, “절체절명의 위기의 기로에 서 있는 경제 상황에서 벼랑 끝에 몰린 지역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들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이어 “직접지원을 비롯한 유통채널 디지털 전환 지원, 경영 부담 완화 대책, 지역 소비 촉진 캠페인 확대 등 다각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 : Retail Business Survey Index)는 유통업체들의 현장 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 지수추이>
<소매유통업태별 경기전망 지수추이>
|
▲ | 울산상공회의소, 산불 피해지역에 2천만원 기부 |
---|---|
‒ | 2025년 2분기 울산지역 소매유통업 경기 전망 |
▼ | 울산상의, 이동운 부산지방국세청장과의 간담회 개최 |
(우)44689 울산광역시 남구 돋질로 97 (신정동) 울산상공회의소
대표전화 : Tel.052-228-3000, Fax.052-711-1234 문의 : ulsan@korcham.net
Copyright (c) 2017 ulsancci, All Right Reserved.